서비스와 시스템 차이 3줄 요약
- 서비스는 형태는 없지만 사용자에게 가치를 주는 상품이에요 (ex. 토스의 간편송금, 카카오톡 선물하기)
- 시스템은 서비스를 작동하게 만들어주는 내부 구조나 프로세스예요 (ex. 본인인증, 결제)
- 서비스와 시스템을 구분해서 정리해두면 포트폴리오와 면접에 도움이 돼요
면접관: 혹시, 이전에 서비스를 운영해 본 경험이 있나요? 면접자: 네! 00회사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면서 A기능과 B기능을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이 있습니다!
만약 위 답변에서 이상한 점을 못 느끼셨다면, 반드시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셔야 해요!
IT 회사에서 일하다 보면 “이건 서비스 문제예요”, “시스템 이슈예요” 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요, 언뜻 보면 비슷해 보이는 두 단어지만 사실 서비스와 시스템은 전혀 다른 개념이에요. 만약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다면 면접에서도, 협업이 필요한 실무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죠.
그래서 오늘은 IT 회사 취업 전, 반드시 알아둬야 할 서비스와 시스템의 차이를 쉽게 풀어드릴게요.
1. 서비스란?
형태는 없지만 사용자에게 가치를 주는 상품을 얘기해요. 예를 들어 토스의 송금 서비스, 배달의 민족의 한집배달 서비스, 카카오톡의 선물하기 서비스 등이 있죠.
2. 시스템이란?
서비스를 작동하게 만들어 주는 내부 구조나 프로세스를 말해요. 예를 들어 로그인에 필요한 인증과 세션, 상품 정보를 보여주는 카탈로그, 결제를 처리하는 주문 관리 등이 포함되죠. 그럼 지금부터, 제가 코드잇 강의를 구매하는 과정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해 볼까요?
로그인하기

먼저 로그인을 해볼까요? 요즘에는 네이버, 구글, 카카오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 할 수 있죠. 유저 입장에서는 클릭 몇 번이면 가능한 로그인이지만, 뒤에서는 인증·세션, 계정·권한 등의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어요!
강의 둘러보기

로그인을 했으니 이제 어떤 강의가 있는지 한 번 둘러볼까요? 다양한 강의가 준비되어 있지만 저는 ‘AI로 나만의 콘텐츠 만들기’라는 강의를 눌러볼게요. 강의를 누르자 설명, 일정, 썸네일, 남은 기간 등 자세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네요.
이는 카탈로그 시스템, 정원 관리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해요!
결제하기

강의가 마음에 든 저는 구매를 결정했어요! 그런데, 구매를 누르니까 다시 새로운 인증을 해야 된다는 안내가 뜨네요? 해당 강의는 국비지원을 받기 때문에 지원 자격을 한 번하기 위해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고 하더라고요.
바로 이 때 지원 대상, 기간, 정원, 중복 신청 여부 등을 체크하는 지원 자격·정책 엔진이 작동하게 되죠.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주문관리와 결제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통해 주문이 완료 돼요.
한 눈에 보는 서비스와 시스템
분류 | 서비스 | 시스템 |
로그인하기 | 로그인, 간편 로그인 | 인증·세션, 계정·권한 |
강의 살펴보기 | 제품 상세 설명, 후기 | 카탈로그 시스템, 정원 관리 시스템 |
결제하기 | 본인인증, 결제 | 지원 자격·정책 엔진, 주문관리, 결제 게이트웨이 |
3. 포트폴리오, 면접 TIP 3가지
만약 여러분이 개발자 취준생이라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꼭 체크해 보세요!
모든 설명을 ‘시스템’과 ‘서비스’ 두 문장으로 나눠보세요
개발자는 기획자와의 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같은 일을 말해도 다르게 오해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어요. 따라서 이를 각각 설명할 줄 안다면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어필할 수 있죠.
- 서비스: 선물 수락까지의 이탈을 줄이려고 결제 단계를 간소화했습니다
- 시스템: 이를 위해 결제 토큰 재발급 로직과 메시지 전송 큐를 수정하였습니다
성과 지표를 ‘KPI’와 ‘SLO’로 구분해 보세요
서비스에서는 주로 KPI(사용자, 비즈니스 지표)를, 시스템은 SLO/SLI(성능, 안정성 지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둘을 함께 어필할 수 있다면 가치와 기술을 동시에 볼 수 있다는 신뢰를 줘요.
- KPI: 선물하기 완료율 +6%
- SLO: 결제 API p95 지연 < 300ms, 가용성 99.9% 유지
‘유저 플로우’와 ‘시스템 플로우’를 모두 그려보세요
흔히 사용자 여정이라고 하는 서비스 플로우와 시스템 플로우를 모두 그리면,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어요
- 유저 플로우: 친구선택 → 상품선택 → 결제 → 전달 → 수락
- 시스템 플로우: 사용자관리 → 상품정보 → 결제(PG) → 메시징 → 바우처/정산
오늘은 서비스와 시스템의 차이에 대해 알아봤어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상품, 시스템은 그 서비스를 작동하게 만들어 주는 기능이라고 이해하면 돼요. 이 둘을 명확하게 구분할 줄 안다면 면접을 준비 할 때, 실무에 들어갔을 때에도 반드시 도움이 될거예요.
서비스와 시스템,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면?
스프린트 풀스택 부트캠프에서 아래 혜택 모두 챙기고 취업까지 성공해 보세요!

수강료 0원에 학습 내내 맥북 무상 지원까지!
- 체계적인 고퀄리티 교육 + 취업 지원을 전액 무료로 경험할 수 있어요
- 학습 내내 맥북이 무상 지원되니, 최적의 환경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1 취업 지원 프로그램과 인턴십 매칭까지 진행돼요!
- 이력서 작성부터 면접 대비까지 현직자 멘토의 1:1 코칭이 제공돼요
- 참여 희망자에 한해서 인턴 지원 기업을 무한 매칭해 드려요

수료생 10명 중 7명은 취업에 성공하고 있어요
- 풀스택 과정은 스프린트에서 가장 높은 취업률 보이는 과정 중 하나예요
- 수강생 66%가 비전공자로 누구나 쉽게 입문할 수 있어요
▶️ 스프린트 더 둘러보기
Share article